티타임즈TV
티타임즈TV
  • 1 107
  • 33 907 280
클래식은 앞줄이 좋을까, 중간 좌석이 좋을까? (조은아 교수) | 주말의 클래식 Ep.07
“아무리 서툰 연주라도 디지털 음원은 콘서트 라이브를 이길 수 없다.” 콘서트홀은 연주자들에게는 제2의 악기와 같은 거대한 울림통이라고 합니다. 동시에 관객들에게는 마이크나 확성장치 없이 자연 울림 그대로 소리를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이죠. 서울의 대표적인 두 콘서트홀, 예술의전당과 롯데콘서트홀을 조은아 교수와 함께 비교해 봅니다. 어디가 좋을까요?
#클래식연주 #예술의전당 #롯데콘서트홀 #비교
편집: 장민주 PD
촬영: 장민주 PD, 황정현 PD, 강기훈 PD
자막·자료: 장민주 PD
대본·진행: 조은아 교수
섬네일: 장민주 PD
00:00 하이라이트
00:36 조은아 교수 프로필
01:09클래식 전용홀의 특징
05:11 NC지수란?
05:57 직접음, 반사음, 잔향
09:16 슈박스형
10:33 부채꼴형
11:41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의 특징
12:32 빈야드형
14:25 롯데콘서트홀의 특징
▶티타임즈 공식 홈페이지
www.ttimes.co.kr/index.html
▶티타임즈 메일
ttimes6000@gmail.com
Переглядів: 2 600

Відео

쿠팡은 정말로 '로켓배송'을 중단하게 될까?
Переглядів 1,7 тис.2 години тому
공정위가 쿠팡에 1400억원의 과징금을 부과하기로 했습니다. 쿠팡이 온라인 쇼핑시장의 1위 사업자로서 공정한 플랫폼의 역할을 해야되는데 자신들의 PB상품을 더 많이 판매하기 위해서 검색 순위를 조작했다는 것이 골자죠. 쿠팡은 이에 반박했는데요. 반박의 수위가 꽤 높습니다. 공정위의 논리가 업계관행에 맞지 않고, 이렇게 제재가 계속될 경우 국내 투자나 로켓배송을 계속해나갈 수 없다고 반발합니다. 이에 맞서 공정위도 쿠팡의 해명이 사실 관계와 맞지 않다고 반박하고 있습니다. 쿠팡과 공정위의 싸움에 관련 업계도 촉각을 세우고 있는데요. 과연 양측 주장의 핵심은 무엇이고 사실관계가 어떤지를 꼼꼼히 따져봐야 될 것 같습니다. 편집: 황정현 PD 촬영: 강채은 디자이너, 최형균 기자 글·자료: 홍재의 기자 진행:...
빅테크는 AI를 UX 혁신에 어떻게 활용하나 (김예림 마이크로소프트 UX 연구원)
Переглядів 1,5 тис.4 години тому
AI가 사람들의 일자리를 위협하고 있지만 하지만 대체할 수 없는 직군도 많죠. 그런 직군 가운데 하나가 UX연구원이 될 것이라고 합니다. AI 기술이 발전할수록 생길 수밖에 없는 인간다움에 대한 추구를 포착하고 공감해 제품에 담아내는 것이 UX연구원의 역할이기 때문이죠. AI시대 UX 연구원의 전망을 김예림 마이크로소프트 UX 연구원으로부터 들어봅니다. 편집: 박선희 영상디자이너 촬영: 장민주 PD 글·자료: 배소진 기자 진행: 배소진 기자 섬네일: 박수형 영상디자이너 #UX연구원 #마이크로소프트 #빅테크 ▶티타임즈 공식 홈페이지 www.ttimes.co.kr/index.html ▶티타임즈 메일 ttimes6000@gmail.com 00:00 하이라이트 00:55 UX연구원을 직업으로 선택한 계기는? ...
AI가 막내사원 일자리를 위협한다? 몇 년차까지 위험할까?
Переглядів 5 тис.7 годин тому
업무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AI 서비스가 점차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를 도입해 생산성을 혁신하는 회사들도 생겨나고 있죠. 직장인들은 업무용 AI툴을 어떻게 활용해야 마치 자비스를 갖고 있는 아이언맨처럼 남들보다 앞서 나갈 수 있을까요? 구글, 삼성, 블리자드 등 글로벌 IT대기업에서 오랜 경험을 쌓은 선배들이 알려줍니다. AI를 활용해 일 잘하는 방법 그리고 앞으로 AI에 일자리를 빼앗기지 않을 노하우 말이죠. 편집: 강기훈PD 촬영: 장민주 PD, 강기훈 PD 글·자료: 홍재의 기자 진행: 홍재의 기자 ▶티타임즈 공식 홈페이지 www.ttimes.co.kr/index.html ▶티타임즈 메일 ttimes6000@gmail.com #브리티코파일럿 #삼성SDS #구글 00:00 하이라이트 00:5...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러시아의 5가지 미래 (국제시사문예지 파도)
Переглядів 8 тис.7 годин тому
전 세계 많은 사람이 이번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통해 러시아가 생각만큼 강하지 않다는 것에 놀랐습니다. 과연 앞으로 러시아의 미래는 어떻게 될까요? 미국의 러시아 역사학 권위자 스티븐 코트킨이 최근 포린어페어스에 기고한 ‘러시아의 다섯가지 미래’를 통해 러시아 앞에 놓인 길들을 살펴봅니다. 편집: 강기훈 PD 촬영: 장민주 PD 글·자료: 박성수 PD 진행: 파도 김동규 편집장, 파도 김수빈 에디터 섬네일: 박수형 디자이너 ▶티타임즈 공식 홈페이지 www.ttimes.co.kr/index.html ▶티타임즈 메일 ttimes6000@gmail.com #러시아 #전쟁 #PADO 00:00 하이라이트 00:37 서론 05:16 ① 프랑스처럼 된 러시아 09:56 ② 러시아의 후퇴 12:34 ③ 중국의 ...
스타트업 정보의 보고, 혁신의숲은 어떻게 운영되나? (마크앤컴퍼니 홍경표 대표)
Переглядів 3,2 тис.12 годин тому
스타트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이라면 모두가 본다는 ’혁신의 숲‘. 우리나라 스타트업들에 대한 모든 데이터가 올라와 있습니다. 경쟁사의 매출과 고객구조, 성장세 등을 분석하는 데에도 아주 유용하죠. 이 모든 정보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데 그렇다면 이 회사는 어떻게 돈을 벌까요? 편집: 강채은 영상디자이너 촬영: 장민주 PD, 강채은 영상디자이너 글·자료: 최형균 기자 섬네일: 박수형 영상디자이너 ▶티타임즈 공식 홈페이지 www.ttimes.co.kr/index.html ▶티타임즈 메일 ttimes6000@gmail.com #혁신의숲 #마크앤컴퍼니 #오깡비 00:00 하이라이트 00:30 본영상 01:05 마크앤컴퍼니 소개 01:38 스타트업 분석 데이터를 공개하는 이유는? 04:39 혁신의숲 사용자 규모는...
창고에서 시작해 인텔도, 삼성도 한 수 접는 회사가 된 ASML 이야기
Переглядів 68 тис.14 годин тому
반도체 생태계 안에서도 가장 중요한 산업이 바로 생산, 즉 파운드리입니다. 어마어마한 생산 수요가 몰리면서 빅테크들이 TSMC와 삼성, 그리고 인텔의 공장에 줄 있는 상황이죠. 그런데 이들 파운드리도 한 수 접고 들어가야 하는 기업이 있습니다. 바로 전 세계 노광장비 시장 점유율 90%를 달리고 있는 ASML입니다. 네덜란드 필립스 옆 나무 창고에서 시작한 회사는 어떻게 일본의 니콘과 캐논을 제치고 시장 1위가 될 수 있었을까요? 그리고 그 시간은 언제까지일까요? 편집: 박의정 영상디자이너 촬영: 장민주 PD 글·자료: 이재원 기자 섬네일: 박의정 영상디자이너 ▶티타임즈 공식 홈페이지 www.ttimes.co.kr/index.html ▶티타임즈 메일 ttimes6000@gmail.com #asml #t...
슬픈 음악에는 긍정적 에너지를 주는 힘이 있다 (조은아 교수)|주말의 클래식 Ep.06
Переглядів 2,4 тис.16 годин тому
우리는 왜 슬픈 음악을 들을까요? 위로를 받기 위해서일 것입니다. 실제 연구에서도 애틋한 선율을 들을 때 오히려 긍정적 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고 합니다. 이번 ‘주말의 클래식’은 역사상 가장 슬픈 클래식이라는 차이콥스키의 ‘백조의 호수’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차이콥스키는 백조의 호수를 통해 어떤 슬픔을 위로 받고 싶었던 것일까요? #차이콥스키 #백조의호수 #클래식 편집: 장민주 PD 촬영: 장민주 PD, 황정현 PD, 강기훈 PD 자막·자료: 장민주 PD 대본·진행: 조은아 교수 섬네일: 장민주 PD 00:00 하이라이트 00:42 조은아 교수 프로필 02:21 차이콥스키 '백조의 호수' 특징 03:42 🎼 차이콥스키 '백조의 호수' 듣기 05:58 바그너 '로엔그린' 07:20 발레 음악의 특징 08...
"6주간 눈물 참아가면서 버틸 수 있는 분만 지원해주세요"(테커 코딩 부트캠프 모집)
Переглядів 2,5 тис.19 годин тому
한국의 비상위권 대학의 학생들을 위해 만들어진 '목숨 걸고 도전 하는 코딩 캠프' 테커 부트캠프가 돌아왔습니다. 과거 비공개로 신청을 받던 테커가 최근에는 티타임즈를 통해 몇 차례 지원자를 받았었는데요, 테커를 이끌고 있는 앤드류 박 팔로알토 네트웍스 수석 엔지니어가 할 말이 있다고 합니다. "쉽게 포기하고 나갈 분들은 신청하지 말아달라"는 부탁이라고요. 눈 딱 감고 6주간 최선을 다해 코딩 공부에 매진할 분들만을 모신다고 합니다. 자세한 정보는 아래 페이지를 확인하세요. ☞ bootcamp.techeer.net 편집: 장민주 PD 촬영: 장민주 PD 글·자료: 홍재의 기자, 장민주 PD 진행: 홍재의 기자 섬네일: 박수형 디자이너 ▶티타임즈 공식 홈페이지 www.ttimes.co.kr/index.ht...
빅테크 UX 연구원은 어떻게 일하나? (김예림 마이크로소프트 UX 연구원)
Переглядів 2,1 тис.19 годин тому
마이크로소프트 등 빅테크에는 생소한 직군이 있습니다. 바로 UX 연구원입니다. 프로덕트 매니저(PM), 개발자, 디자이너 등과 함께 일하며 기획부터 전체 프로세스에 관여합니다. 국내에서는 토스가 도입하기도 했죠. 왜 빅테크들은 일찌감치 UX 연구원이라는 직군이 만들었을까요? 이들은 어떤 일을 할까요? 김예림 마이크로소프트 UX 연구원으로부터 들어봅니다. 편집: 박선희 영상디자이너 촬영: 장민주 PD 글·자료: 배소진 기자 진행: 배소진 기자 섬네일: 박수형 영상디자이너 #UX연구원 #마이크로소프트 #빅테크 ▶티타임즈 공식 홈페이지 www.ttimes.co.kr/index.html ▶티타임즈 메일 ttimes6000@gmail.com 00:00 하이라이트 01:10 김예림 MS UX연구원 소개 03:15...
구글, 삼성, 블리자드 선배가 추천하는 일잘러들의 툴
Переглядів 17 тис.День тому
워드와 액셀을 잘 다루는 게 일 잘하는 기준이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그 이전에는 술 잘 마시면 1등 직원인 시대도 있었죠. 앞으로는 AI를 잘 다루는 직원이 일 잘하는 직원으로 칭찬 받을 지도 모릅니다. 삼성, 구글, 블리자드 등을 겪은 선배 3인에게 들어봅니다. 요새 일 잘하려면 잘 다뤄야 하는 툴은 무엇인지, 그리고 그 세대 직장인과 지금의 직장인 중 정말 '일 잘러'는 어느 쪽인지 알아봅니다. 편집: 강기훈 PD 촬영: 장민주 PD 글·자료: 홍재의 기자 진행: 홍재의 기자 섬네일: 박수형 디자이너 🙇🏻‍♂삼성SDS UA-cam 채널 구독자 2만명 달성 감사 이벤트 진행 🙇🏻‍♂ 하기 이벤트에 참여해 주신 분들 중 222명을 추첨하여 경품을 드려요!! 🎁 [🔍 이벤트 참여 방법] 1. 삼성SDS ...
WWDC 2024 애플 AI 전략을 설명하는 키워드 ‘액션’
Переглядів 16 тис.День тому
늘 뒤처진다는 평가를 받았던 애플이 드디어 AI 전략을 공개했습니다. 이 전략을 이해하는 키워드는 바로 액션, 즉 행동인데요. 전 세계 20억대가 넘는 애플 디바이스에서 매일같이 벌어지는 이용자들의 행동을 AI가 학습하고, 예측해서 다시 고객들에게 경험으로 돌려주겠다는 게 애플의 구상입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핵심이 되는 게 음성인식 앱에서, 전체 시스템을 총괄하는 앱 에이전트로 승진한 시리이고요. 애플의 AI 청사진과 애플이 열어젖힌 앱 에이전트와 LAM의 시대에 대해 살펴봅니다. 편집: 박의정 영상디자이너 촬영: 장민주 PD 글·자료: 이재원 기자 섬네일: 박의정 영상디자이너 ▶티타임즈 공식 홈페이지 www.ttimes.co.kr/index.html ▶티타임즈 메일 ttimes6000@gmail....
“아마존과 정반대, 사람 대접 받으며 일할 수 있는 곳” (전직 구글러 정김경숙)
Переглядів 4,4 тис.День тому
미국인들이 가장 사랑한다는 슈퍼마켓 트레이더 조(Trader Joe's). 손님만이 아닙니다. 직원들도 행복하게 일하는 곳으로 유명합니다. 전직 구글러인 로이스김(정김경숙)님이 실리콘밸리 N잡러가 되어 트레이더 조에서 알바를 한 경험을 들어보시죠. 트레이더 조는 어떻게 손님을 대하고, 직원들을 대하는지. 편집: 황정현 PD 촬영: 장민주 PD 글·자료: 이사민 기자 진행: 이사민 기자 섬네일: 박수형 영상디자이너 ▶티타임즈 공식 홈페이지 www.ttimes.co.kr/index.html ▶티타임즈 메일 ttimes6000@gmail.com #실리콘밸리 #N잡러 #트레이더조 00:00 하이라이트 00:42 로이스김(정김경숙)님 소개 02:07 실리콘밸리에서 N잡? 03:14 구글에서 정리해고? 06:06...
고객들은 '초개인화'를 원하지 않는다? (소비행동학자 송수진 고려대 교수)
Переглядів 3,1 тис.День тому
고객들은 '초개인화'를 원하지 않는다? (소비행동학자 송수진 고려대 교수)
키오스크에 AI가 들어가면 어떤 일이? (이건복 MS 상무)
Переглядів 7 тис.День тому
키오스크에 AI가 들어가면 어떤 일이? (이건복 MS 상무)
“희망없는 짝사랑이 만든 음악사의 혁명이었다” (조은아 교수) │ 주말의 클래식 Ep.05
Переглядів 2,1 тис.14 днів тому
“희망없는 짝사랑이 만든 음악사의 혁명이었다” (조은아 교수) │ 주말의 클래식 Ep.05
잡플래닛에서 시작된 강형욱 대표 논란, 서비스 관점에서 따져보기
Переглядів 3,9 тис.14 днів тому
잡플래닛에서 시작된 강형욱 대표 논란, 서비스 관점에서 따져보기
MS로부터 직접 듣는 MS빌드 요점정리 (MS 이건복 상무)
Переглядів 8 тис.14 днів тому
MS로부터 직접 듣는 MS빌드 요점정리 (MS 이건복 상무)
리더 3명이 말하는 예쁜 후배, 싫은 후배 (황성현, 김정민, 박종천)
Переглядів 21 тис.14 днів тому
리더 3명이 말하는 예쁜 후배, 싫은 후배 (황성현, 김정민, 박종천)
AI가 정말 외로움을 치료할 수 있을까? (국제시사문예지 파도)
Переглядів 2,3 тис.14 днів тому
AI가 정말 외로움을 치료할 수 있을까? (국제시사문예지 파도)
“파괴와 혁신은 더 근본적인 것을 파고드는 삐딱함이다” (조은아 교수) │ 주말의 클래식 Ep.04
Переглядів 1,9 тис.21 день тому
“파괴와 혁신은 더 근본적인 것을 파고드는 삐딱함이다” (조은아 교수) │ 주말의 클래식 Ep.04
AI 제대로 활용하기 위한 4가지 프레임워크 (김상균 경희대 교수)
Переглядів 29 тис.21 день тому
AI 제대로 활용하기 위한 4가지 프레임워크 (김상균 경희대 교수)
AI를 잘 하는 회사인지 아닌지 구분하는 방법 (30년 개발자 박종천)
Переглядів 18 тис.21 день тому
AI를 잘 하는 회사인지 아닌지 구분하는 방법 (30년 개발자 박종천)
핸드폰 가게 하다가 투자사 대표 된 카이스트 졸업생 이야기 (어센도벤처스 이정석 대표)
Переглядів 3,1 тис.21 день тому
핸드폰 가게 하다가 투자사 대표 된 카이스트 졸업생 이야기 (어센도벤처스 이정석 대표)
"사이버보안, 손흥민은 많은데 김민재가 없다" 왜? (강병탁 AI스페라 대표)
Переглядів 3,5 тис.21 день тому
"사이버보안, 손흥민은 많은데 김민재가 없다" 왜? (강병탁 AI스페라 대표)
‘포로수용소의 모두가 열광적으로 침묵했다’ (조은아 교수) │ 주말의 클래식 Ep.03
Переглядів 17 тис.28 днів тому
‘포로수용소의 모두가 열광적으로 침묵했다’ (조은아 교수) │ 주말의 클래식 Ep.03
글로벌 사업 다 넘겨줄 위기에 빠진 네이버
Переглядів 3,8 тис.28 днів тому
글로벌 사업 다 넘겨줄 위기에 빠진 네이버
“중국 유통의 한국 장악, 핵폭탄급 충격 올 수 있다” (김영덕 지마켓 공동창업자)
Переглядів 5 тис.28 днів тому
“중국 유통의 한국 장악, 핵폭탄급 충격 올 수 있다” (김영덕 지마켓 공동창업자)
X, 틱톡의 경쟁자가 되고 있는 링크드인
Переглядів 3,6 тис.Місяць тому
X, 틱톡의 경쟁자가 되고 있는 링크드인

КОМЕНТАРІ

  • @youngyunkim6429
    @youngyunkim6429 32 хвилини тому

    실제로 논문 수나 인용수는 중국이 최근에 미국을 뛰어넘었다는 통계가 나오는건 사실입니다. 훌륭한 학자들도 많이 있는 것 같구요. 높은 수준 논문이 많이 나오는건 맞으나, 논란의 여지는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서로 인용하는 문화가 있어서 띠용 스러운 논문도 꽤나 높은 수준의 저널에 나오는 경우도 많고, 재현성이 검증 안된 논문이 나오기도 하고..... 중국 정부가 논문 수와 임팩트팩터에 인센티브를 주면서 그 엄청난 수의 과학계 중국 종사자들이 논문을 쏟아내다보니 전세계 과학 저널계가 좀 어지러워진거 같아요 마치 태양광이나 배터리 과잉 생산처럼.. 저널 자체도 중국 자체 저널로 유도하려고 노력하는 거 같구요.

  • @QvQvQvQ
    @QvQvQvQ 3 години тому

    한대에 수천만원을 호가한다고? 그럼 나도 한대 주문해야겠다 남에꺼 도용해서 걍 읽는것도 틀리냐?

  • @GIN_COMPUTER_ulsan
    @GIN_COMPUTER_ulsan 5 годин тому

    지금나온 블랙웰 성능은 기존것들을 압도하는댕.

  • @NabiSong
    @NabiSong 6 годин тому

    롯콘은 빈야드임에도 불구하고… 좌석마다 음향편차 큰데? 빈야드보다 안 좋다는 부채꼴 예당이 롯데목욕탕보다 음향 훨씬 좋음. 조은아가 목욕탕을 좋아하나?ㅋㅋ 롯데목욕탕에 아부하지 맙시다! 목욕탕이용권 받지 맙시다!

  • @user-rg3mv8ok5s
    @user-rg3mv8ok5s 6 годин тому

    서울 공연장중 예당이랑 세종 문화회관은 이제 리모델링좀 하자..부천아트센터랑 인천 아트센터 가봤는데 너무 좋더라

  • @chk5306
    @chk5306 7 годин тому

    교수님의 예당과 롯데콘써트홀의 비교 강의는 많은 도움되었습니다. 두 공연장을 갔어도 음향의 차이가 왜 있을까를 강연을 통해서 잘 알게되었읍니다. 감사합니다.

  • @sooyeonlee2967
    @sooyeonlee2967 8 годин тому

    쿠팡 구독 취소... 손마사요시 망해라 ㅡㅡ 네이버만 사용할거에요 이제!

  • @MT2raining
    @MT2raining 9 годин тому

    예당과 롯콘 전부 애정을 갖고 많이 가는데, 두 공연장의 차이를 디테일하게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올여름에도 또 관람하러 가고 싶네요. 🎉🎉🎉

  • @user-qf5vn4nt3y
    @user-qf5vn4nt3y 9 годин тому

    9:00 adml 이 유일하게 euv 장비 제작하지만.. 가격을 마음대로 뻥튀기 할 수 없은 이유

  • @steevepark4966
    @steevepark4966 10 годин тому

    쿠팡 로켓배송도 사입해서 파는제품인데..마트나 뭐가 틀릴까? 공정위가 공정하지 못한거 같네요 쿠팡이 사서 쿠팡이 파는건데.. 내가게에서 내가 진열 앞자리에 하는거 당연하지 않을까요?

    • @user-kz9rg1ud3n
      @user-kz9rg1ud3n 3 години тому

      리뷰 조작은 형사처벌 대상입니다

  • @Royy652
    @Royy652 12 годин тому

    알고리즘이 사람들에 의해서 만드는게 아니라 데이타 기반으로 목적함수(매출최대)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생성되는 방식입니다. 쿠팡처럼 엄청나게 많은 트래픽이 있을경우에는 아주 많은 데이타에 의해서 학습되고 결정됩니다. 그렇게 인위적으로 직접적으로 수정할수가 없어요!!!!!!!!!!!!!! 자사를 물품을 올릴도록 수정할수가 없어요 구조적으로.. 제발 왼쪽에 있는 아저씨 입좀 다물어주세요. 알지도 못하면서 ㅎㅎㅎ

    • @user-hp7ns9qg4p
      @user-hp7ns9qg4p 9 годин тому

      너도아는척좀하지마라ㅡㅡ가찮다

  • @nickn364
    @nickn364 13 годин тому

    전반적인 내용이 걍 가정수준+뇌피셜 조무사네 ㅋㅋㅋ 구독 취소

  • @user-fx7tz8te1b
    @user-fx7tz8te1b 13 годин тому

    교수님 멋져요 사랑합니다♡♡

  • @leeyonghyun58
    @leeyonghyun58 14 годин тому

    조은아 교수님께서 전해주시는 유익한 정보를 감사하게 보고 있습니다. 👍😊💕

  • @user-rj6sf4ts4q
    @user-rj6sf4ts4q 14 годин тому

    흐흐흐 KT. . .

  • @chulhyunyun2129
    @chulhyunyun2129 16 годин тому

    러시아 혼자 살수있는 식량 에너지 자원 다있는나라가 왜 중국 속국이 된다 하는지? 핵탄두 6000기 보유한 자연인이 남밑에서 사는거 봤나? 깝깝한소리하네~

  • @아닌데
    @아닌데 18 годин тому

    썸네일에 ASML 없이 1.6나노 간다는 건 좀 많이 잘못된 거 같은데요

  • @user-br2tm4ku3t
    @user-br2tm4ku3t 19 годин тому

    내용이없네

    • @chanwoonam581
      @chanwoonam581 19 годин тому

      ㄹㅇ내용이없음 뭐 어쩌라고 이름을알려주던가

  • @pyu_ru
    @pyu_ru 19 годин тому

    프로그램 이름만 딱 알고싶다..

  • @sangjayce3426
    @sangjayce3426 19 годин тому

    진짜 많은 기업들이 착각하는게 본질이 중요하지 나머지는 사이드다....

  • @KoreanBeautyOwner
    @KoreanBeautyOwner 20 годин тому

    휴. 다른회사에서 tsla 대항.... IOS VS ANDROID 처럼..

  • @69MadnezZ
    @69MadnezZ День тому

    확률이 높더라도 너무 영-미의 시각에 치우친 생각인 것 같아서 아쉽네요 😅

  • @10caf
    @10caf День тому

    향후 전망에 대한 뉴스도 접할 수 있어서 도움이 되네요

  • @rachelc212
    @rachelc212 День тому

    📍움직이면서 일하면서 청소하면서 이어폰 끼고 듣고 있는데 진행자 분의 “응응 으으” 소리가 너무 신경쓰입니다. 다른 채널 보다 유난히 응응을 모든 단어 하나하나가 끝날때마다 하시니 이어폰 없이 들으시는 분들은 아마도 저보다 덜 느끼시거나 안 들리실지도 모르겠지만 듣는 내내 피로감이 상당합니다. 굳이 외국 채널들과 비교해서 죄송하지만 초대자의 목소리만 최대한 부각 되도록 진행자의 추임새 거의 없는 반면 유독히 한국 진행지 분들은 “내가 당신 말을 잘 경청하고 있다“의 표현인지는 모르겠지만 시청자는 전혀 고려치 않고 네네나 응응 등의 반응을 너무 많이 하셔서 듣는 내내 불편한 감이 매우 큽니다. 이 채널이 잘 되고 성장 하기를 바라는 구독자로써 태클이나 비방의 글이 아닌 건의 드리는 글이라고 생각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user-zu4hd3xj6x
    @user-zu4hd3xj6x День тому

    독제가 없으면 전쟁도 없다

  • @yskim7827
    @yskim7827 День тому

    단순 스펙 읽어주기가 아닌 기초부터 상세하게 설명해주는 고퀄 컨텐츠 대박이네요. 티타임즈 구독함

  • @user-ef9ek6vo6k
    @user-ef9ek6vo6k День тому

    중립국은 여행도 가지말고 물건도 사지맙시다. 여행가고. 물건쓰면 그나라만 커집니다.

  • @user-xm3ho3gt1r
    @user-xm3ho3gt1r День тому

    0:59 한대에 수천만원? 수천억!

  • @user-lo4wj8gw4v
    @user-lo4wj8gw4v День тому

    와 설명이

  • @user-fr4iw4ho5k
    @user-fr4iw4ho5k День тому

    흥미로운 내용 좋았습니다😊

  • @skkes3321
    @skkes3321 День тому

    섬 중국 tsmc 망해야

  • @user-oy5ep3uh4y
    @user-oy5ep3uh4y День тому

    중국기업 테무랑 알리는 관리도 못하면서.. 한국에서 유일하게 대항하고 있는 쿠팡까지 날리면 이제 뭘로 중국 감당하려고

    • @togoaz2688
      @togoaz2688 День тому

      ㅋㅋㅋㅋㅋ 무식이 하늘을 찌르네 쿠팡은 일본 자본 먹은 미국 기업이고 대표도 한국인 코스프레 하는 미국인임

    • @user-dr5qt8gm7o
      @user-dr5qt8gm7o День тому

      쿠팡도 미국기업이야

    • @jaewook-jr2qm
      @jaewook-jr2qm День тому

      ​@@user-dr5qt8gm7o 미국은 친구고 중국은 적이지

    • @user-dr5qt8gm7o
      @user-dr5qt8gm7o День тому

      @@jaewook-jr2qm 니가 쿠팡을 자국기업처럼 보니깐 말하는거 쿠팡 돈벌려고 한국온거지 적선하러 온거아니다 한국유통 싸그리 망하면 독점으로 지들 원하는대로 단가 가는거고 그리고 친구가 어딨니? 미국기업이 이윤 앞에 젤 이기적인데

    • @jaewook-jr2qm
      @jaewook-jr2qm День тому

      @@user-dr5qt8gm7o 우리나라 온라인 유통은 망했어... 신세계 롯대를 바바 미국업체랑이라도 친하게 지내야지 ㅠㅠ

  • @Junie-R
    @Junie-R День тому

    쿠팡은 진짜 양아치기업이 맞다 ㅋㅋㅋㅋ 남들도 다해서 우리는 상관없다라는게 말이될리가... 다 처벌 받고 가이드라인 새로 짜는게 맞지

  • @user-bg7vw7nh2n
    @user-bg7vw7nh2n День тому

    작가가 배경, 맥락, 의도를 담아서 클라우드 ai에 질문을 하면 좋은 문장이 만들어짐. 이제 아이디어만 있으면 누구나 쉽게 하루에 양질의 소설을 몇 편씩 만들어내는 시대라 경쟁은 더 빡세질 듯. ai 잘 못 다루는 사람도 어떤 문장을 쓴 다음, 이 부분을 더 디테일하게 묘사해줘, 주인공의 이런 감정을 묘사해줘. 이 부분은 이렇게 묘사해 줘. 이러면 놀라울 정도의 결과가 나옴. 작가들은 더 성실해져야 함. 이제 chat gpt, claude ai로 모든 과제를 해결하는 대학생들이 사회로 나와서 다 웹소설 작가가 될 거임. 아주 자연스럽게 ai로 소설을 보충해야지 이런 생각을 가지고 들어온다는 말임. 그 수십만 작가랑 경쟁하기 위해서 자기가 어떻게 할 건지 잘 생각해 보셈. 소설의 묘사 부분이랑 원고 완성하는 속도 부분에서는 지고 들어갈 수밖에 없음. 아니면 똑같이 ai를 써야함.

  • @user-em7jf5ur2r
    @user-em7jf5ur2r День тому

    멸굥에 힘실어주는 굥정위😂😂😂😂😂😂😂😂😂😂

  • @ysh1215i
    @ysh1215i День тому

    쿠팡 힘내라!

  • @user-xu5sl4qo5m
    @user-xu5sl4qo5m День тому

    알기쉽게 설명을 잘해 주시네요 잘보고갑니다

  • @userchannel267
    @userchannel267 День тому

    실언이 맞죠. 쿠팡에서 로켓배송빼면 누가 쓴다고 ㅎㅎ 쿠팡 고객들이 쿠팡구독하는 이유가 그건데 ㅎㅎ

  • @hc9086
    @hc9086 День тому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귀에 쏙쏙 들어오네요.

  • @Dlwjddbs1224
    @Dlwjddbs1224 День тому

    사실 슈퍼갑은 tsmc하나라는 슬픈 사실.... 삼성은 조금 더 뷴전하길 빕니다

  • @gogoavril
    @gogoavril День тому

    이건희 회장님의 뛰어난 결단력으로 일본을 누르고 메모리1위를 달성 어쩌고 하는 삼전 광고비 받아먹고 광고만 해대는 한국 주류언론보다는 훨 낫네요

  • @gogoavril
    @gogoavril День тому

    EUV 노광기의 핵심부품인 EUV광원생성기는 미국대학에서 네덜란드계 과학자들이 개발해서 특허를 가지고 있음. 여기서 EUV광원생성기를 만들어서 네덜란드 ASML에 납품하고 독일의 반사경과 결합해서 만듬 결국 미국과 유럽의 연구개발 협력에 일본은 끼지 못했고 기술경쟁에서 패배한 것임 백인들이 주도하는 과학계에서 일본의 역할은 러시아 중국의 남진을 저지하는 딱 거기까지 뿐임. 그이상 넘어셔려고 하면 백인들끼리 똘똘뭉쳐 왕따시켜버림 지금은 그 대상이 중국으로 옮겨갔고 그런데 황인종은 일본 중국 한국 동남아 다 따로노니 영원히 백인의 지배를 받을 운명인 것

  • @user-jz3wx7pr8t
    @user-jz3wx7pr8t День тому

    러시아가 전쟁에 패하고 푸틴이 권총자살하게 되면 시진핑은 서방과 러시아의 강화를 주선해주고 우랄산맥 동쪽의 시베리아와 연해주를 할양받을 생각일 것이다. 150년전 베이징톈진조약때 연해주 뺏긴 것처럼. 고토를 되찾으려 할 것이디.

  • @harr2222
    @harr2222 День тому

    잘봤습니다

  • @youtuberthomas4223
    @youtuberthomas4223 День тому

    똥 싸시네요. ㅋㅋㅋㅋㅋㅋ

  • @fireeggkimpaul4758
    @fireeggkimpaul4758 День тому

    공정위가 국가기관이고..실제 공정위에서 잠깐 계약직으로 일했던 지인분의 말에 의하면 절~대~ 만만한 기관도 아니고 은근히 컴퓨터/서버/네트워크 포렌직 지식이 있어서 깜짝 놀랐다고 합니다! 물론 쿠팡도 온라인 쇼핑의 상자이고 IT기반이 세기 때문에..뭔가 빈박할만한 데이터가 있겠죠~ 🤔

  • @kimbonya
    @kimbonya День тому

    빛을 빗으로 발음하시는 교수님들은 대부분 7080년대 초등교육받으신 분들인데 기자님은 제가 본 가장 젊으신 분입니다. 방송이나 강연에 설 자리가 많으신 분이시니 교정하시길.

  • @piaominyuland
    @piaominyuland 2 дні тому

    책 주제에다 지들의 편견을 아주 끼워맞추는 꼴불견이네요. 러시아가 친서방이 되었으면 좋겟다고 하는데. 님들 머리가 나쁜건지 알고도 모르는척하는 나쁜 새끼들인지 구분이 안가네. 러시아가 한때는 친서방이 될려고 노력했고 나토에도 가입하네 마네 얘기도 나왔는데 서방이 안받아줬지. 그리고 나토가 더이상 러시아 쪽으로 확장안한다는 약속도 어겼고. 서방은 왜 러시아의 발작버튼을 눌렀는가를 주제로 하면 더재밋었을 것같애.

  • @user-ij9bc3fx3x
    @user-ij9bc3fx3x 2 дні тому

    SWE 대비 처우가 낮은데 큰 결정이었네요

  • @mckinseyand2022
    @mckinseyand2022 2 дні тому

    님의 얼굴이 너무 많이 나와요.